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혈액 응고 과정에서 손상 부위에서의 출혈 멈춤과 정상 순환계에서의 혈류 유지에 모두 관여하는 생리학적 과정은 무엇인가?
혈액 응고 과정에서 손상 부위에서의 출혈 멈춤과 정상 순환계에서의 혈류 유지에 모두 관여하는 생리학적 과정은 무엇인가?
- 혈관 수축 (Vasoconstriction)
- 일차 지혈 (Primary Hemostasis)
- 이차 지혈 (Secondary Hemostasis)
- 지혈 (Hemostasis) (correct)
국소적 혈관 수축(localized vasoconstriction)을 유발하는 가장 강력한 인자는 무엇인가?
국소적 혈관 수축(localized vasoconstriction)을 유발하는 가장 강력한 인자는 무엇인가?
- 엔도텔린 (Endothelin) (correct)
- 세로토닌 (Serotonin)
- 트롬빈 (Thrombin)
- 콜라겐 (Collagen)
일차 지혈 (Primary Hemostasis) 과정에서 혈소판이 콜라겐에 부착되도록 돕고, 혈관 수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물질로 묶인 것은?
일차 지혈 (Primary Hemostasis) 과정에서 혈소판이 콜라겐에 부착되도록 돕고, 혈관 수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물질로 묶인 것은?
- vWF, 섬유소원
- ADP, 세로토닌 (correct)
- 세로토닌, 트롬빈
- ADP, vWF
이차 지혈 (Secondary Hemostasis)의 내인성 경로 (Intrinsic Pathway)와 외인성 경로 (Extrinsic Pathway)의 공통적인 최종 단계 활성화 효소는 무엇인가?
이차 지혈 (Secondary Hemostasis)의 내인성 경로 (Intrinsic Pathway)와 외인성 경로 (Extrinsic Pathway)의 공통적인 최종 단계 활성화 효소는 무엇인가?
섬유소 (Fibrin) 중합체를 안정화시켜 단단한 혈병 (hard clot) 형성을 촉진하는 응고 인자는 무엇인가?
섬유소 (Fibrin) 중합체를 안정화시켜 단단한 혈병 (hard clot) 형성을 촉진하는 응고 인자는 무엇인가?
혈액 응고 과정에서 비타민 K 의존성 y-카르복시글루탐산 (Gla) 잔기를 포함하는 단백질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혈액 응고 과정에서 비타민 K 의존성 y-카르복시글루탐산 (Gla) 잔기를 포함하는 단백질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혈우병 A는 특정 혈액 응고 인자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 질환이다. 혈우병 A는 어떤 인자의 결핍과 관련 있는가?
혈우병 A는 특정 혈액 응고 인자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 질환이다. 혈우병 A는 어떤 인자의 결핍과 관련 있는가?
지혈 조절 과정에서 불활성형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활성형 플라스민(plasmin)으로 전환시키는 물질은 무엇인가?
지혈 조절 과정에서 불활성형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활성형 플라스민(plasmin)으로 전환시키는 물질은 무엇인가?
TFPI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는 혈액 응고 과정에서 어떤 경로를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TFPI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는 혈액 응고 과정에서 어떤 경로를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항트롬빈 III (Antithrombin III, AT3)가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항트롬빈 III (Antithrombin III, AT3)가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백질 Z (Protein Z)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은 무엇인가?
단백질 Z (Protein Z)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은 무엇인가?
프로테인 C (Protein C)가 활성화되기 위해 형성되어야 하는 복합체는 무엇인가?
프로테인 C (Protein C)가 활성화되기 위해 형성되어야 하는 복합체는 무엇인가?
와파린(Warfarin)의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와파린(Warfarin)의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다음 중 extrinsic pathway 억제에 관여하는 것은?
다음 중 extrinsic pathway 억제에 관여하는 것은?
다음 중 혈전증(thrombosis)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는?
다음 중 혈전증(thrombosis)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는?
Flashcards
지혈(Hemostasis)
지혈(Hemostasis)
상처나 출혈 시 출혈을 멈추는 것. 손상 부위에서 출혈을 멈추고, 정상 순환계에서는 혈류를 유지하는 생리학적 과정.
혈관 수축 (Vasoconstriction)
혈관 수축 (Vasoconstriction)
혈관 손상 시 혈관 내피 세포에서 엔도텔린 등이 방출되어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
일차 지혈 (Primary Hemostasis)
일차 지혈 (Primary Hemostasis)
혈소판이 활성화되어 혈전 생성을 돕고, 골수 거대 핵 세포의 세포질 조각이 떨어져 나와 생성됨
이차 지혈 (Secondary Hemostasis)
이차 지혈 (Secondary Hemostasi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섬유소 용해 (Fibrinolysis)
섬유소 용해 (Fibrinolysi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혈소판 부착 (Platelet adhesion)
혈소판 부착 (Platelet adhesio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모양 변화 (Shape change)
모양 변화 (Shape chang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과립 방출 (Granule release)
과립 방출 (Granule releas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동원 (Recruitment)
동원 (Recruitment)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응집 (Aggregation)
응집 (Aggregatio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혈병 (Clot)
혈병 (Clot)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외인성 경로 (Extrinsic Pathway)
외인성 경로 (Extrinsic Pathway)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내인성 경로 (Intrinsic Pathway)
내인성 경로 (Intrinsic Pathway)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트롬빈 형성 (Thrombin formation)
트롬빈 형성 (Thrombin formatio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섬유소 형성 (Fibrin formation)
섬유소 형성 (Fibrin formatio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혈액응고 개요
- 혈액응고는 구강생화학의 마지막 수업 내용
- 중간고사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를 기원
혈액응고 목차
- 지혈 (Hemostasis)
- 국소적 혈관수축 (Vasoconstriction)
- 일차 지혈 (Primary Hemostasis)
- 이차 지혈 (Secondary Hemostasis)
- 지혈조절
지혈 (Hemostasis)
- 정의: 상처나 출혈 시 출혈을 멈추는 과정
- 기능: 손상 부위에서 출혈을 멈추고 정상 순환계에서 혈류 유지
지혈의 주요 과정
- 혈관수축: 혈관이 좁아져 출혈 부위의 공간을 줄임
- 일차 지혈: 혈소판 응집을 통해 혈소판 마개 형성
- 이차 지혈: 출혈 부위에서 선택적으로 혈병이 형성되는 지혈 조절
- 섬유소 용해: 혈액 응고 후 생성된 혈병을 제거
- 요약: 혈관 손상 → 혈관 수축 → 일차 지혈 (혈소판 마개 형성) → 이차 지혈 (응고 연속) → 혈병 생성 → 섬유소 용해를 통한 혈병 제거
국소적 혈관 수축 (Vasoconstriction)
- 혈관 손상 시 엔도텔린 등이 혈관 내피 세포에서 방출되어 혈관이 수축
- 엔도텔린은 강력한 혈관 수축 인자로 작용
일차 지혈 (Primary Hemostasis)
- 혈소판 부착: 혈액 내 혈소판이 내피 세포 아래 콜라겐에 직접 부착 또는 vWF를 통해 부착
- 형태 변화: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형태가 변함
- 과립 방출: 활성화된 혈소판으로부터 ADP, TXA2, CA, ATP, 세로토닌, vWF 등 방출
- 동원: 방출된 물질들이 혈소판을 모으고 활성화
- 응집: 활성화된 혈소판들이 섬유소원을 통해 서로 응집하여 1차 지혈마개 형성
- 4번과 5번 과정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음
- 과립 방출 단계 작용 Agonists 역할
- ADP: 상처 부위로 혈소판 부착 촉진
- Serotonin: 혈관 수축 유지
- Prostaglandin/Phospholipid: 혈관 수축 유지 및 혈액 응고 관련 인자 활성화
- vWF: 혈소판 마개 성장 및 안정화
- 혈소판 마개의 의미: 일시적으로 혈관 상처 부위 봉쇄 및 혈병 형성까지 시간 확보
이차 지혈 (Secondary Hemostasis) = 응고연속 단계 (Coagulation Cascade)
- 혈병은 피브린과 혈구로 구성됨
- Extrinsic Pathway와 Intrinsic Pathway 두 가지 경로로 진행
- Extrinsic Pathway (외인성 경로)
- 조직 손상 시 시작
- Tissue Factor (TF) 관여
- One-step 과정
- Intrinsic Pathway (내인성 경로)
- 혈관벽 손상으로 콜라겐 노출 시 시작
- 혈관 시스템 내 모든 요소 관여
- Multi-step 과정
- 두 경로 모두 F10 (Prothrombinase) 활성화가 공통적
응고 과정 상세
- Extrinsic Pathway:
- TF (Ⅲ) 활성화 (조직 손상)
- Ca, FVII 복합체 형성 및 FVII 활성화, FVII는 Gla 단백질
- FVII-Ca-TF 복합체에 의해 F10 활성화 → F10a (프로트롬비나제) 형성
- Intrinsic Pathway:
- F12 활성화 (혈관 내벽 손상) → F12a 형성
- F12a에 의한 F11 활성화 → F11a 형성
- F11a에 의한 F9 활성화 → F9a 형성
- F9a와 F8a가 복합체를 이루어 F10 활성화 → F10a (프로트롬비나제) 형성
- F10a 형성 이후 단계
- 프로트롬비나제 복합체(F10a, FV, FVa) 형성
-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활성화
- F10a-FV/FVa 복합체가 프로트롬비나제 효소 역할
트롬빈의 역할
- 섬유소원(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
- 응고인자 F13 활성화 → 피브린 중합체 안정화
- FV, F8 활성화 → 응고연속 단계 촉진
- 혈소판 활성화 → 일차 지혈 단계 관여
Prothrombin
- N-말단에 y-carboxyglutamate 있는 72kDa 단백질
- Ca²⁺와 결합, 상처 부위서 prothrombinase와 결합
- Arg-284, Arg-320 잘리면서 활성 형태 변환
- Glaprotein을 가짐
Hemophilia (혈우병)
- X 염색체 유전 질환, 혈액 응고 X, 지혈 X
- 전통적 혈우병은 F8 결함
지혈 조절
- 혈병 과다 생성 시 혈전증 유발
섬유소 용해 (Fibrinolysis)
- 지혈 완료된 후 혈병 제거
- 내피세포, prostacyclin/산화질소 분비 → 혈소판 응집 억제
- t-PA: 불활성 plasminogen 활성화 → plasmin 활성화, plasmin은 serine protease, fibrin 분해해 혈병 제거
- plasmin/t-PA 억제: PAI-1, PAI-2가 fibrin clots에 친화력 높여 plasmin/t-PA 억제
항응고 (Anticoagulation)
- 응고 반응 억제, 과도한 clot 형성/비정상 응고 방지
TFPI (조직 인자 경로 억제제)
- (ext 접착제 모자 씌움 + endocytosis로 끌여들임)
- lipoprotein에 연결
- multienzyme inhibitor
- TF-Ca2+-FVIIa-FXa 복합체와 결합하여 Extrinsic Pathway 억제
- Domain 1 - FVIa 억제
- Domain 2 - FXa 억제
- Domain 3 - 복합체 endocytosis에 관여
Antithrombin II (AT3)
- Serine Protease inhibitor (Thrombin, FXa 표적)
- Extrinsic/Intrinsic Pathway 모두 작용
- Heparin 상호작용 시 항응고 효과 증가
AT3와 Heparin 상호 작용
- 당 개수 > 18: Thrombin + Heparin >18 + AT3 -> AT3 Heparin Thrombin 복합체 형성 및 Thrombin 불활성화
- 당 개수 = 5: FXa + heparin5 + AT3 -> AT3 헤파린 FXa 억제 복합체 형성 및 FXa 불활성화
- Heparin이 없을 때: AT3 FXa or AT3 thrombin 복합체 & 항응고 약하게 작용
- Heparin은 AT3의 효과를 증폭
Protein Z (PZ)
- Gla 단백질
- Ca₂⁺ 존재 시 protein cofactor 작용, Protein Z-dependent protease inhibitor (ZPI)와 결합
- Fxa 불활성화
- Extrinsic, Intrinsic Pathway 공통 작용
Protein C (PC) / Protein S (PS, protein cofactor)
- Gla- 단백질, PS는 PC에 작용
- PC는 Thrombin, Thrombomodulin, Ca₂⁺ receptor
- Thrombin, Thrombomodulin, Ca₂⁺ 가 PC 활성화
- PC:PS complex가 FVa, FVIIIa 특정 peptide bond 절단, 불활성화 유도
- Extrinsic, Intrinsic Pathway 공통 작용
- Thrombonsis (혈전증): Protein C, S 부족 or FVa, FUVlla 변이 → 항응고 X 및 혈액 응고 지속
Warfarin
- (산화형 Vitamin K -> 환원형 비타민 K 반응 억제)
- Gla 단백질 생성 억제
- 혈액 응고 단계 진행 억제
- Warfarin: Glaprotein 불활성화 (F2a, F7a, F9a, F10a)
지혈 과정
- TFPI: FXa와 결합하여 FVIIa 제거 -> Extrinsic Pathway 억제 (blue)
- Antithrombin: Heparin과 결합 (Thrombin, FXa) 불활성화(purple)
- Protein z: 칼슘이 존재하는 환경화에 ZPI, FXa 불활성화
- Protein C: Complex가 FVac FVIIIa를 억제
- Warfarin: GLA 비활성화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