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학 3판 12장 PDF - 내분비계통 약물
Document Details

Uploaded by IdyllicMiami3743
2024
Tags
Summary
This document is from Pharmacology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3rd edition) Chapter 12, focusing on endocrine system pharmacological agents. Key topics include types of endocrine organs and hormones, hormone deficiencies and excesses, diabetes mellitus and antidiabetic drugs, and vitamins. It includes multiple-choice review questions.
Full Transcript
제 12 장 내분비계통 약물 학습목표 1. 내분비기관의 종류와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를 열거할 수 있다. 2. 각 호르몬의 결핍증과 과잉증을 열거할 수 있다. 3. 당뇨병의 분류와 그에 따른 치료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각 비타민의...
제 12 장 내분비계통 약물 학습목표 1. 내분비기관의 종류와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를 열거할 수 있다. 2. 각 호르몬의 결핍증과 과잉증을 열거할 수 있다. 3. 당뇨병의 분류와 그에 따른 치료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각 비타민의 결핍증과 과잉증을 열거할 수 있다. 1. 내분비계통의 개요 2. 호르몬제 3. 항당뇨병제 4. 비타민제 핵심용어해설 갑상샘저하증(hypothyroidism) : 갑상샘에서 갑상샘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 갑상샘호르몬 농도가 저하된 또는 결핍된 상태 갑상샘항진증(hyperthyroidism) : 갑상샘에서 갑상샘호르몬이 과잉으로 분비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안구돌 출, 갑상샘종, 두근거림이 증상으로 나타남 고혈당(hyperglycemia) : 혈중 포도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삼투압의 변화를 일으켜 심한 목마 름, 소변량 증가로 인해 탈수를 초래함 골다공증(osteoporosis) : 뼈의 무기질과 단백질이 줄어들어 골조직이 엉성해진 상태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 갑상샘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 자신의 갑상샘 표면에 있는 갑상 샘자극호르몬수용체에 대해 자가항체가 생산되고 이것이 갑상샘을 자극함으로써 갑상샘호르몬이 과잉으 로 만들어져 다양한 증상을 일으킴 내분비계통(endocrine system) : 호르몬이라는 액성 전달물질을 통해 체내의 항상성 유지, 에너지대사, 성장 및 생식 등의 중요한 생체기능을 조절하는 기관계통 당뇨병(diabetes mellitus) : 인슐린 작용의 부족에 의한 만성적인 고혈당을 주요 특징으로 하며 각종 특징적인 대사이상을 동반하는 질환 반감기(half-life) : 어떤 물질이 외부적 또는 내부적 요인에 의해 분해될 경우 그 물질의 원래 양에서 반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 알도스테론증(aldosteronism) : 부신에서 알도스테론이 과잉으로 분비되어 각종 수분과 전해질의 대사이상을 일으키는 질환 알레르기반응(allergic reaction) : 원래부터 생체방어를 목적으로 삼아야 할 면역반응이 결과적으로 생체에 위 해를 미치는 상태가 되는 것 저혈당(hypoglycemia) : 혈중 포도당 수치가 정상치 이하로 감소하여 발생하는 병적인 상태로, 50mg/dL 이 하가 되면 권태감 등 중추신경의 기능이 저하되고, 30mg/dL 이하가 되면 혼수상태가 됨 쿠싱증후군(Cushing syndrome) : 부신피질호르몬 중 당질부신피질호르몬인 코티솔이 만성적으로 과잉 분비 되어 발생하는 증후군 패짓병(Paget disease) : 뼈흡수 후 뼈형성이 반복적으로 과도하게 일어나는 질환으로, 새롭게 형성된 뼈는 무질서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함 항당뇨병제(antidiabetic drug) :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약 등으로 불림 1 내분비계통의 개요 내분비계통은 신경계통과 함께 생체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계통이다. 신경계통에서는 신경세포가 흥분되 면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되어 다양한 세포기능의 조절에 관여하며 국소적인 작용을 하지만, 내분비계통에서 는 생체의 요구에 따라 내분비세포에서 호르몬(hormone)이 분비되어 다양한 세포기능의 조절에 관여한다.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을 내분비기관 또는 내분비샘이라고 하며, 시상하부, 뇌하수체, 갑상샘, 부갑상샘, 췌장(이자), 부신, 생식샘, 솔방울샘(송과체) 등이 있다(그림 12-1). 뇌하수체 시상하부 솔방울샘(송과체, 갑상샘·부갑상샘 (hypothalamus) pineal gland) 갑상연골(방패연골, thyroid cartilage) 중간부분 앞면 갑상샘 전엽(앞엽, (thyroid gland) anterior lobe) 후엽(뒤엽, posterior lobe) 부갑상샘 뒷면 (parathyroid gland) 부신 피질(겉질, cortex)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수질(속질, medulla) A(α)세포 신장(콩팥, kidney) D(δ)세포 B(β)세포 난소(여성) 고환(남성) 정관(vas deferens) 정세관(seminiferous tubule) 그림 12-1 내분비기관 296 약리학 Pharmacology 내분비기관에서 생산된 호르몬은 자극을 통해 분비된다. 분비된 호르몬은 표적세포에서 생리작용을 발휘 하는데, 표적이 되는 세포에는 호르몬에 특이적인 결합단백질 수용체가 존재한다. 수용체에 호르몬이 결합 하는 것이 생리작용을 일으키는 최초의 단계이며, 수용체 결합 후에는 세포 내에서 신호의 활성화가 일어나 생리작용으로 이어진다. 또한 호르몬은 생체 안팎의 다양한 변화에 적응하여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표 12-1의 기능을 한다. 표 12-1 호르몬의 기능 기능 개요 당질대사, 지질대사, 단백질대사, 전해질대사 등 대사의 항상성 유지는 생체의 기능 유지에 중요하다. 대사조절 대사조절은 호르몬에 의한 조절로 균형 있게 기능한다. 외부로부터의 급격한 스트레스에 적응하는 생체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스트레스에 의해 분비가 촉 스트레스 적응 진되는 호르몬이 존재한다. 그 예로 부신피질호르몬이 있다. 적응 반응 환경변화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환경에 적응하도록 생리변화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개체의 발달과 성장 태생기부터 성숙한 개체로 성장할 때까지 성장과 발달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의 유지와 번식 생식기능에 깊이 관여하며 종의 유지와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섭식과 음수행동 섭식이나 음수행동도 뇌 내에서 호르몬이 작용하여 이루어진다. 2 호르몬제 (Hormone drug) 1. 호르몬결핍증과 과잉증 호르몬(hormone)은 몸 전체의 균형 있는 성장을 촉진하고 다양한 장기와 기관의 조화를 이루게 하며 항상성 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호르몬이 결핍되거나 과잉 분비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표 12-2). 표 12-2 호르몬결핍증과 과잉증 호르몬명 결핍증 과잉증 뇌하수체전엽호르몬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 소인증 거인증, 말단비대증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기초대사 저하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시몬스병 쿠싱병 뇌하수체후엽호르몬 항이뇨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 요붕증 옥시토신(oxytocin) 진통미약 크레틴병 그레이브스병 갑상샘호르몬(thyroid hormone) 점액부종 점액부종 부갑상샘호르몬(parathormone) 테타니 섬유성 골염 췌장호르몬 인슐린(insulin) 당뇨병 부신피질호르몬 당질부신피질호르몬(글루코코티코이드, glucocorticoid) 애디슨병 쿠싱병 무기질부신피질호르몬(미네랄코티코이드, mineralocorticoid) 애디슨병 알도스테론증 고환호르몬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유사고자증 에스트로젠 에스트라다이올(estradiol) 성기발육부전 황체호르몬 프로제스테론(progesterone) 불임 298 약리학 Pharmacology 2. 시상하부호르몬 시상하부호르몬(hypothalamic hormone)은 뇌하수체전엽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임상에서 사 용되는 주요 시상하부호르몬은 표 12-3과 같다. 표 12-3 시상하부호르몬의 종류와 특징 시상하부호르몬 임상응용 및 특징 갑상샘자극호르몬(TSH)과 프로락틴(PRL)의 분비기능검사 갑상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TRH) 머리외상이나 거미막밑출혈(지주막하출혈) 등에 동반되는 지연성 의식장애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LH) 분비기능검사 (GnRH, LH-RH, FSH-RH) 합성 LH-RH 작용제*(류프로렐린) 전립샘암, 자궁내막증, 중추성 성조숙증 * 작용제이지만 반복투여하면 시상하부가 탈민감화(desensitization)하여 생식샘자극호르몬 및 성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된다. TRH :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LH-RH :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FSH-RH :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PRL : prolactin 3. 뇌하수체호르몬 뇌하수체는 전엽(앞엽), 중간엽, 후엽(뒤엽)의 3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호르몬의 분비를 담당한다. 뇌하수체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시상하부에 의해 제어되며 시상하부에서 방출된 호르몬에 의해 분 비된다. 뇌하수체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합성된 후 축삭을 지나 뇌하수체후엽에 저 장되는데, 자극을 받으면 분비된다. 뇌하수체중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는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MSH)이 있으며 세포 내에서의 멜라닌 합성을 촉진한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주요 뇌하수체호르몬은 표 12-4와 같다. 표 12-4 뇌하수체호르몬의 종류와 특징 뇌하수체호르몬 임상응용 및 특징 성장호르몬(GH)* 뇌하수체왜소증(pituitary dwarf) 갑상샘자극호르몬(TSH) 뇌하수체 및 갑상샘의 기능진단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부신피질 기능부전 치료나 부신피질 기능검사 뇌하수체 ① 난포자극호르몬(FSH) : 난포발육촉진 전엽호르몬 배란유도제(클로미펜, clomiphene)는 뇌하수체전엽에 작용하여 이 호르몬의 생식샘자극호르몬(Gn) 분비를 촉진해서 배란을 유발하므로 불임에 사용 ② 황체형성호르몬(LH) : 황체형성 촉진, 남성호르몬 분비 촉진 프로락틴(PRL)* 유선(젖샘)을 자극해서 젖을 분비 제 12 장 내분비계통 약물 299 표 12-4 뇌하수체호르몬의 종류와 특징 (계속) 뇌하수체호르몬 임상응용 및 특징 2 호르몬제 뇌하수체 옥시토신 자궁수축 및 젖 분비를 촉진 후엽호르몬 바소프레신(ADH) 혈관수축, 항이뇨작용이 있으며 요붕증에 사용 *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 도파민작용제)은 성장호르몬이나 프로락틴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말단비대증이나 거인증, 고프로 락틴혈증, 젖흐름증(젖분비과다)에 사용된다. GH : growth hormone, TSH : thyroid-stimulating hormone, ACTH : adrenocorticotropic hormone, Gn : Gonadotropin, PRL : prolactin, ADH : anti-diuretic hormone, FSH : follicle-stimulating hormone, LH : luteining hormone 4. 갑상샘호르몬 갑상샘호르몬(thyroid hormone)은 대사 조절인자로 주로 다음과 같은 작용으로 열을 생산하고 교감신경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① DNA, RNA는 사람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하며 갑상샘호르몬은 이들 단백질합성에 필요한 DNA, RNA 의 합성을 자극하여 에너지대사에 필요한 효소를 만든다. ② 사립체 내의 단백질합성을 촉진한다. ③ 세포막에 작용하여 이온 투과성을 높이고 이와 동시에 신경말단의 수용체와 결합해서 신경전달물질로 서 작용한다. ④ 아드레날린신경세포가 방출하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의 작용을 증강시킨다. 갑상샘호르몬의 주체를 이루는 것은 타이록신(thyroxine; T4), 트라이아이오도타이로닌(triiodothyronine; T3), 칼시토닌(calcitonin)의 3종류이다. T4, T3은 뇌하수체가 분비하는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에 의해 그 분비가 제어되며 TSH의 분비는 추위나 정신적 자극에 의해 증가된다. 갑상샘호르몬이 과잉 생산되면 갑상샘항진증(hyperthyroidism), 결핍되면 갑상샘저하증(hypothyroidism)이 발 병한다(표 12-5). 갑상샘항진증의 치료에는 약물요법, 방사선요법, 외과요법이 주로 시행되고, 갑상샘저하 증은 약물요법이 주체가 되어 치료가 진행된다. 표 12-5 갑상샘항진증과 갑상샘저하증의 증상 부위 갑상샘항진증 갑상샘저하증 전신 식욕은 증가하지만 체중은 감소, 발한 증가 식욕부진이어도 체중은 증가, 발한 감소, 피로감 증가 머리 탈모 얼굴부종 눈 안구돌출, 시력감퇴 - 목 갑상샘비대 - 300 약리학 Pharmacology 표 12-5 갑상샘항진증과 갑상샘저하증의 증상 (계속) 부위 갑상샘항진증 갑상샘저하증 심장 두근거림, 혈압 상승(수축기) 심장비대, 호흡곤란, 가슴통증 소화기 설사 변비 생식기 무월경, 월경기간 단축 월경과다 팔다리 피부충혈 피부건조, 부종 감정 신경질, 불면 감정 불안정, 우울 1) 갑상샘항진증 치료제 갑상샘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됨으로써 생기는 증상을 치료하는 약물로, 주로 갑상샘에서 호르몬이 만 들어지는 과정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메티마졸(methimazole), 카비마졸(carbimazole), 프로필싸이오유라실(propylthiouracil)이 있으며, 필요 이상 억제할 경우 갑상샘호르몬이 부족해지면서 저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검사와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갑상샘항진증 치료제와 병용 시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은 표 12-6과 같다. 표 12-6 갑상샘항진증 치료제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약물 상호작용 약물 부작용 증가 클로자핀(clozapine) 등의 항정신병제와 같이 골수억제 가능성이 있는 약물 효과 감소 방사성아이오딘 등 2) 갑상샘저하증 치료제 갑상샘저하증 치료에는 부족한 갑상샘호르몬을 보충함으로써 전신 대사를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돕 는 갑상샘호르몬제를 사용한다. 갑상샘호르몬에는 타이록신(thyroxine, T4)과 트라이아이오도타이로닌 (triiodothyronine, T3)이 있는데 T4가 압도적으로 많이 분비된다. 그러나 갑상샘호르몬으로서 효력을 발휘 하는 것은 오히려 T3이며 T4는 세포 속에 흡수되어 T3이 된 후 T3수용체와 결합해서 갑상샘호르몬으로서 작용한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약물에는 건조갑상샘분말, 레보타이록신(levothyroxine), 리오타이로닌(levothyroxine) 등이 있다. 건조갑상샘분말은 T4, T3을 함유하지만 그 비율이 일정하지 않고 불순물도 있기 때문에 알레 르기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단점 있다. 레보타이록신은 T4 제제이기 때문에 체내에서 T3으로 변환되어 작 제 12 장 내분비계통 약물 301 용한다. 효과가 나타나기 까지 1주일이나 걸리는 것이 단점이지만 반감기가 길어서 1일 1회 투여하면 된 다. 리오타이로닌은 T3 제제이기 때문에 활성도 강하고 효과도 빨리 나타나지만 반감기가 짧아서 1일 2 2 회 투여해야 한다. 호르몬제 갑상샘호르몬의 필요량은 신체 안팎의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동되며, 필요량 이상 복용 시 항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음식물에 의해 흡수가 떨어질 수 있는 약물은 공복 복용이 권장된다. 또한 갑상샘저하증 치료제와 병용 시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은 표 12-7과 같다. 표 12-7 갑상샘저하증 치료제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약물 상호작용 약물 부작용 증가 와파린 등의 일부 항응고제, 에피네프린 등의 교감신경자극제 등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의 무기질이 함유된 약물(제산제, 철분제 등), 사이프로플록사신 등의 일부 항생제, 효과 감소 콜레스티라민, 심바스타틴 등의 일부 항고지혈증제, 리팜핀 등의 일부 항결핵제 등 3) 칼시토닌 갑상샘의 소포곁세포에서 생산되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뼈에서 혈액으로 칼슘이온이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켜 혈중 칼슘농도를 저하시킨다. 골다공증, 고칼륨혈증, 패짓병(Paget disease)에 사용된다. 그 밖에 도 칼슘이온의 ①뼈침착 촉진작용, ②장흡수 억제작용, ③신장배설 촉진작용도 있다. 칼시토닌에는 살카토닌(salcatonin), 엘카토닌(elcatonin)이 있다. Caution 갑상샘호르몬은 대부분 모든 생체기능에 관여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산소소비에 영향을 주고 칼로 리 생산을 증가시켜 단백질·핵산 합성의 촉진, 당대사, 지능·신체의 성장에도 관여하는 등 다양한 작용을 한다. 하시모토병(만성갑상샘염)에서는 갑상샘호르몬이 감소하기 때문에 질환에 따른 특수성을 이해해야 한다. 항갑상샘제의 부작용은 1,000명에 1명 비율로 백혈구감소증이 나타난다. 갑상샘항진증에서 가장 주의해야 하는 사항으로 혈관수축제의 문제가 있다. 에피네프린은 병태를 악 화시키고 때로는 갑상샘중독발작(thyrotoxic storm)의 원인이 되는데 이때는 펠리프레신(felypressin)으로 바꾸거나 무첨가인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302 약리학 Pharmacology 5. 부갑상샘호르몬 부갑상샘에서 생산 및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뼈의 칼슘을 이온으로서 혈중에 방출하여 비타민 D의 활성 화 등을 통해 혈중 칼슘농도를 증가시킨다. 부갑상샘호르몬의 재조합 형태인 테리파라타이드(teriparatide)는 골다공증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6. 부신피질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adrenocortical hormone)은 부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대사, 면역반응의 조절, 염증반응의 조절, 염분·수분평형의 조절을 담당한다. 주로 탄수화물의 형태를 바꾸어 간 에 저장하는 데 관여하는 당질부신피질호르몬(글루코코티코이드, glucocorticoid)과 신장에서 소듐 재흡수에 관 여하는 무기질부신피질호르몬(미네랄코티코이드, mineralocorticoid)으로 크게 나뉜다(그림 12-2). 임상에서 사용되는 것은 당질부신피질호르몬 제제이며, 이를 부신피질호르몬제 또는 스테로이드소염제라 고도 한다. 부신피질호르몬제는 화학적인 염증매개물질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시키고, 림프계통의 활성과 용량을 감소시켜 면역계통을 억제한다. 광범위한 약리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 용된다(표 12-8). 혈관 당질부신피질호르몬 세포 당질부신피질호르몬 수용체 당·단백질·지질대사 항염증 (활성화) 면역억제 DNA 단백질 중추신경계통 합성 핵 혈액성분 전사 번역 기타 mRNA 그림 12-2 당질부신피질호르몬의 작용기전 제 12 장 내분비계통 약물 303 대표적인 약물에는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트라이암시놀론(triamcinol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다. 2 전신작용을 목적으로 부신피질호르몬제를 투여할 경우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에는 혈당 상승, 소화궤양, 호르몬제 부종, 골다공증, 백내장, 녹내장의 발생, 감염병 유발이나 악화 등이 있다. 고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하면 신 경예민, 불면증, 우울 등의 정신장애나 쿠싱증후군, 소아의 성장억제, 피부이상 등이 유발될 수 있다. 표 12-8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임상응용 질환의 종류 임상응용 결합조직질환 류마티스관절염, 류마티스열, 전신홍반루푸스(SLE), 다(발)근육염 호흡기질환 기관지천식, 유육종증(사코이드증) 소화기질환 궤양대장염, 전격간염 신장질환 신(장)증후군 신경질환 다발경화증, 베체트병, 기얭-바레증후군 자가면역용혈빈혈, 재생불량빈혈, 특발혈소판감소자반병, 급성백혈병, 만성림프백혈병, 악성림프종, 혈액질환 골수종 내분비질환 애디슨병, 선천부신과다형성증, 급성부신전 알레르기질환 약물알레르기, 혈청병, 급성중증과민반응쇼크 기타 장기이식 시의 거부반응 방지(면역억제), 피부질환 Memo 쿠싱증후군(Cushing syndrome) 부신피질호르몬 중 당질부신피질호르몬의 대표인 코티솔이 만성적으로 과잉 분비되어 발생하는 증후 군으로, 얼굴이나 목과 가슴, 배 등에 지방이 축적하는 중심성 비만, 고혈압, 피로감, 쇠약감, 여성의 경우 무월경, 남성화 등이 증상으로 나타난다. Caution 부신피질호르몬제를 급격하게 감량하거나 중단하면 증상 재발이나 혈압저하, 쇼크 등의 증상이 나타 날 수 있음을 환자에게 이해시킨다.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에는 감염성이 증가되므로 피부 등의 청결유지에 노력한다.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에는 상처치유의 지연으로 욕창이 생기기 쉽고 상처가 악화되기 쉬우므로 주 의한다. 소량 투여하는 경우에는 아침 1회, 대량인 경우는 분할하여 투여하되 아침에 많이 투여한다. 3 항당뇨병제 (Antidiabetic drug) 1. 당뇨병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 작용의 부족에 의한 만성적인 고혈당을 주요 특징으로 하며 각종 특징적 인 대사이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초기의 자각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간과하기 쉬운데, 발생빈도는 매우 높다. 따라서 방치하면 ①동맥경화 진행에 따른 심근경색증, 팔다리의 동맥혈전, ②망막증, ③신(장)병증, ④신경염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은 1형(인슐린 의존형)과 2형(인슐린 비의존형)으로 나뉘며 치료법도 각각 다르다(표 12-9). 표 12-9 당뇨병의 분류와 특징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① 비만, 과다영양 ① 바이러스 감염 ② 정신적 스트레스 원인 ② 자가면역 이상 ③ 운동부족 ④ 유전적 요인 발병연령 20세 이하에 많음 40세 이상에 많음 당뇨병 전체에 대한 비율 10% 90% 증상 발현 급성 및 아급성 완만 대사산증 자주 발생 드물게 발생 체격 야윈 형에 많음 비만형에 많음 혈중 인슐린 수치 감소 일정하지 않음 ① 식사, 운동요법 ① 인슐린주사 치료법 ② 경구당뇨병제 ② 식사요법 ③ 인슐린주사 제 12 장 내분비계통 약물 305 2. 항당뇨병제의 종류 3 항당뇨병제(antidiabetic drug)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항당뇨병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인슐린 주사제를 사용하고, 2형 당뇨 병의 경우에는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거나 감수성을 개선하고 포도당 흡수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작용을 가진 약물을 사용한다(그림 12-3). 췌장(이자) 장 녹말 포도당 분비촉진 설탕 인슐린(B세포) 당흡수장애 설포닐유레아 계열 약물 인크레틴 관련제 α-포도당분해효소억제제 간 포도당 인슐린 혈관 당원 인슐린 주사제 당신생억제 비구아나이드 계열 약물 당의 흡수 인슐린저항성 개선제 인슐린수용체 포도당 흡수 당 이용 작용 근육세포·지방세포 억제 그림 12-3 항당뇨병제의 종류와 작용부위 1) 인슐린 주사제 인슐린(insulin)은 폴리펩타이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경구로 복용하면 분해되기 때문에 주사로 투여한 다. 작용하는 시간에 따라 속효형, 준속효형, 중간형, 혼합형, 지속형으로 분류되며(표 12-10), 피부밑으 로 직접 주사하는 방법과 인슐린 펌프로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306 약리학 Pharmacology 표 12-10 인슐린 주사제의 종류와 특징 유형 제제 작용발현시간 지속시간 특징 중성 인슐린주사 식후 고혈당 억제 목적 등 속효형 0.5시간 8시간 인슐린주사 으로 사용 준속효형 무결정성 인슐린 아연 수성 현탁주사액 1시간 12~16시간 인슐린 아연 수성 현탁주사액 중간형 1~1.5시간 18~24시간 1회 2회 주사 이소펜 인슐린 수성 현탁주사액 혼합형 생합성 사람 이상성 아이소펜 인슐린성 현탁주사액 0.5시간 24시간 속효형과 중간형을 혼합 결정성 인슐린 아연 수성 현탁주사액 지속형 4~8시간 36시간 프로타민 인슐린 아연 수성 현탁주사액 ※ 인슐린은 보통 피부밑주사로 투여하지만, 속효형 인슐린은 정맥주사나 근육주사로도 투여할 수 있다. 2) 경구용 혈당강하제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먹는 당뇨병 치료제로 여러 계열의 약물이 있다(표 12-11). 표 12-11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종류와 작용시간 분류 약물명 하루양(mg) 작용시간 톨부타마이드(tolbutamide) 250~1,500 6~12 아세토헥사마이드(acetohexamide) 250~500 10~16 제1세대 클로르프로파마이드(chlorpropamide) 100~500 24~60 설포닐유레아제 글리클로피라마이드(glyclopyramide) 250~500 6 글리클라자이드(gliclazide) 40~120 6~24 제2세대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1.25~7.5 12~24 제3세대 글리메피라이드(glimepiride) 1~6 6~12 메트포민(metformin) 250~750 6~14 비구아나이드제 부포민(buformin) 50~150 6~14 인슐린저항성 개선제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15~30(45) 20 아카보스(acarbose) 150~300 2~3 α-포도당분해효소억제제 보글리보스(voglibose) 0.6~0.9 2~3 미티글리나이드(mitiglinide) 30 3 속효형 인슐린분비촉진제 나테글리나이드(nateglinide) 270 3 시타글립틴(sitagliptin) 50 24 인크레틴 관련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0.3~0.9 24 * 피부밑주사 적용 제 12 장 내분비계통 약물 307 ① 설포닐유레아제(sulfonylurea)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를 자극해서 인슐린 분비를 높이고 혈당을 낮춘다. 3 원래 항균제인 설파제(sulfa drug)에서 파생한 약물로, 항균작용은 없어졌으나 설파제와 마찬가지로 그 항당뇨병제 화학구조 중에 설포닐유레아(-SO2-NH-)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포닐유레아제라고 불린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톨부타마이드(tolbutamide), 아세토헥사마이드(acetohexamide), 클로르프로파마이드 (chlorpropamide),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글리클라자이드(gliclazide) 등이 있다. ② 비구아나이드제(biguanide) 장의 포도당 흡수를 지연시키거나 조직의 당분해를 촉진하여 간에서의 당신생을 억제함으로써 혈당 치를 낮추는 작용을 하는데,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와 상관없이 혈당을 낮춘다. 비만 당뇨병의 혈당 개선 효과가 있고 체중이 잘 늘지 않아서 비만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메트포민(metformin), 부포민(buformin) 등이 있으며, 초기 비구아나이드제인 펜포민 (phenformin)은 젖산산증을 일으켜 판매가 중지되었다. ③ 인슐린저항성 개선제(thiazolidinedione) 표적장기의 인슐린감수성을 높임으로써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 대표적 약물에는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이 있다. ④ α-포도당분해효소억제제(alpha-glucosidase inhibitors) 이당(류)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인 α-포도당분해효소(alpha-glucosidase)의 작용을 억제하여 식후 의 포도당 생산을 감소시키거나 장에서의 포도당 흡수를 지연시킴으로써 당뇨병에서 나타나는 식후 의 급격한 혈당상승을 억제한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아카보스(acarbose), 보글리보스(voglibose) 등이 있다. ⑤ 인크레틴 관련제 식사 후 혈당치가 상승하면 소장에서 혈액 안으로 분비되어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에 작용해 인 슐린 분비를 일으키는 호르몬을 인크레틴(incretin)이라고 한다. 그 대표적인 호르몬이 GLP-1(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 glucagon-like peptide-1)이며, 혈당치에 따라 β 세포에서 인슐린을 분비시킨다. 이 GLP-1은 DPP-4(다이펩타이드분해효소-4, dipeptidyl peptidase-4)라 는 효소에 의해 신속하게 분해된다. 최근 DPP-4 억제제인 시타글립틴(sitagliptin; 경구용), DPP-4에 분해되지 않는 GLP-1 작용제인 엑세 나타이드(exenatide),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주사) 등이 당뇨병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이들 약물은 혈당치를 지나치게 낮추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308 약리학 Pharmacology Caution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사용하면 저혈당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탕이나 비스킷 등 을 휴대하게 한다.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에 항우울제(MAO억제제, 삼환계 항우울제), β차단제, 와파린, 아스피린이 있다면 인 슐린의 효과를 증가시켜 저혈당이 될 위험성이 있다. 한편, 스테로이드, 에피네프린은 당신생을 항진 시켜 고혈당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국소마취제에 첨가되어 있는 혈관수축제인 에피네프린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환자가 의식을 상 실하여 저혈당인지 고혈당인지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에는 저혈당 쪽이 뇌손상이 크기 때문에 저혈 당에 대한 대응이 우선되어야 한다. 날숨에서 달콤새콤하고 과일이 부패한 듯한 냄새가 난다면 고혈 당이므로 참고한다. Memo 고혈당(hyperglycemia) 고혈당은 삼투압의 변화를 일으켜 심한 목마름, 소변량 증가로 인해 탈수를 초래한다. 또한 전해질 균 형도 파괴되기 때문에 구역, 구토, 복통, 설사를 하며, 혈당치가 500mg/dL 이상이 되면 쇼크 상태가 되어 혼수상태에 빠진다. 대처방법으로는 신속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의료기관으로 이송 해야 한다. 저혈당(hypoglycemia) 중추(뇌)의 영양원은 포도당이므로 저혈당이 되면 뇌에 기능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매우 위험하 다. 정상인의 경우 공복 시에도 혈당치는 70mg/dL 이상으로 유지되지만, 만일 50mg/dL 이하가 되면 권태감 등 중추신경의 기능이 저하되고, 30mg/dL 이하가 되면 혼수상태가 된다. 저혈당 시의 처치로 는 의식이 있는 동안은 당분(설탕 15~20g, 캔주스, 캔커피 등)을 섭취하게 한다. 의식이 없을 때는 설탕을 잇몸에 문질러 넣거나 점적용 포도당액이 있다면 정맥주사한다. 물에 용해시킨 것은 폐흡인의 위험이 있어 권장하지 않는다. 4 비타민제 (Vitamin compound) 생체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비타민은 외부로부터 영양소로서 흡수되어 생체의 물질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 다. 그 용해성에 따라 지용성 비타민(fat soluble vitamin)과 수용성 비타민(water soluble vitamin)으로 나뉜다(표 12-12). 비타민이 결핍되면 신체기능에 다양한 장애가 발생하며, 비타민 A와 비타민 D의 경우 과잉 흡수되면 과 잉증도 나타난다. ① 비타민 A 과잉증 : 식욕부진, 피부발진, 탈수, 간비대, 뇌압항진, 골막비후 ② 비타민 D 과잉증 : 고칼륨혈증, 위장장애, 신장장애, 신장·혈관·폐·피부의 석회화 표 12-12 비타민의 종류와 특징 분류 비타민 약물명 결핍증 및 특징 팔미틴산레티놀(retinol palmitate) 비타민 A(레티놀) 시력장애(야맹증), 피부건조 레티놀(retinol) 알파칼시돌(alfacalcidol) 비타민 D(칼시페롤) 구루병, 뼈연화증(골연화증) 지용성 칼시트라이올(calcitriol) 비타민 습관유산, 생식기능저하(남성), 생체에 유해한 비타민 E(토코페롤) 토코페롤(tocopherol) 과산화물의 생성을 방해하는 작용도 있다. 비타민 K [파이토나다이온(K1)] 파이토나다이온(phytonadione) 저프로트롬빈혈증(출혈경향) [메나다이온(K2)] 메나테트레논(menatetrenon) → 지혈제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비타민 B1(티아민) 각기증상(만성신경장애) 옥토티아민(octotiamine) 리보플라빈(riboflavin) 비타민 B2(리보플라빈) 입술염(구순염), 입안염(구내염), 각막염 리보플라빈인산소듐 비타민 B6(피리독신) 수용성 (피리독살) 피리독신(pyridoxine) 신경과민증, 입안염, 펠라그라, 빈혈 등 비타민 (피리독사민) 피리독살(pyridoxal) 하이드록소코발라민(hydroxocobalamin) 악성빈혈, B12는 위바닥에서 분비되는 내인자 비타민 B12(시아노코발라민) 메코발라민(mecobalamin) 와 결합하여 소장에서 흡수된다. 나이아신(니코틴산) 니코틴산(nicotinic acid) 피부염, 설사, 치매의 3가지 증상을 나타내는 (니코틴아마이드) 니코틴아마이드(nicotinamide) 펠라그라 비타민 C(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ascorbic acid) 괴혈병 310 약리학 Pharmacology 확인문제 01.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장기 투여에 따른 부작용은? ① 저혈압 ② 저혈당 ③ 청력장애 ④ 골다공증 ⑤ 감염성 감소 02. 호르몬 증가에 따른 신체의 반응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가. 알도스테론 - 혈청칼륨의 증가 나. 갑상샘호르몬 - 기초대사율 저하 다. 인슐린 - 간에서의 탄수화물 저장 라. 당질부신피질호르몬 - 피부밑지방 분포의 변화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가, 나, 다 ⑤ 가, 나, 다, 라 03. 갑상샘에서 분비되며 조직의 성장을 조절하는 호르몬은? ① T3 ② TSH ③ TRH ④ PTH ⑤ 칼시토닌 정답 01. ④ 02. ③ 03. ① 제 12 장 확인문제 311 04. 1형 당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② 2형 당뇨병보다 유병률이 높다. ③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치료한다. ④ 고도의 인슐린 분비장애가 있다. ⑤ 야윈 사람보다 비만한 사람에게 많다. 05. 2형 당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젊은 사람이 많이 걸린다. ② 케톤증을 일으키지 않는다. ③ 인슐린의 작용부족에 기인한다. ④ 인슐린 주사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⑤ 체중감소와 혈당치 개선은 비례한다. 06. 인슐린 주사제의 투여경로는? ① 피부 내 ② 피부 밑 ③ 근육 내 ④ 정맥 내 ⑤ 동맥 내 07. 비타민과 결핍증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가. 비타민 A - 야맹증 나. 비타민 B1 - 각기 다. 비타민 B2 - 악성빈혈 다. 비타민 C - 구루병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가, 나, 다 ⑤ 가, 나, 다, 라 정답 04. ④ 05. ③ 06. ② 07.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