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Podcast
Podcast
Something went wrong
Questions and Answers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 유전공학, 생명공학 등의 기술 발전이 정체되면서 인간 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가 중단되고 있다.
-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감이 감소하면서 관련 기술 개발이 둔화되고 있다.
- 공상과학 영화에서만 다루어지던 인간 향상이 현실적인 윤리적 논의 대상으로 옮겨가고 있다. (correct)
- 인간 향상 기술의 윤리적 문제점이 해결되어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인간 향상의 유형 중, 정상 범주에 미치지 못하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특질들을 정상 범주로 끌어올리는 향상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인간 향상의 유형 중, 정상 범주에 미치지 못하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특질들을 정상 범주로 끌어올리는 향상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 소극적 향상 (correct)
- 포괄적 향상
- 선택적 향상
- 적극적 향상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의 '넓은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의 '넓은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 인위적인 개입을 통해 정상적인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한층 더 높이는 것
- 인류의 문화 발전 역사 자체를 향상의 역사로 이해하는 것 (correct)
- 손상된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정상 범주로 회복시키는 의료 차원의 개입
- 생명 의료 기술을 통해 정상 범주에 있는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특질을 향상시키는 것
다음 중 치료(therapy)와 향상(enhancement)의 차이점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치료(therapy)와 향상(enhancement)의 차이점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유전자 혹은 신경계 수준의 개입을 통한 인간 향상이 야기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유전자 혹은 신경계 수준의 개입을 통한 인간 향상이 야기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고비용의 생물학적 향상이 사회 정의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고비용의 생물학적 향상이 사회 정의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향상을 선택하지 않은 구성원들이 향상에 대한 암묵적인 압력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주장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중 무엇과 관련됩니까?
향상을 선택하지 않은 구성원들이 향상에 대한 암묵적인 압력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주장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중 무엇과 관련됩니까?
자녀의 유전형을 부모가 결정하는 행위가 자녀의 '주체성'을 위협한다는 주장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중 무엇과 관련이 있습니까?
자녀의 유전형을 부모가 결정하는 행위가 자녀의 '주체성'을 위협한다는 주장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중 무엇과 관련이 있습니까?
후쿠야마(Fukuyama)가 '유전자 귀족계급(GenRich)'의 출현을 우려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후쿠야마(Fukuyama)가 '유전자 귀족계급(GenRich)'의 출현을 우려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샌델(Sandel)이 생물학적 향상이 '삶의 의미와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고 주장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샌델(Sandel)이 생물학적 향상이 '삶의 의미와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고 주장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중 유발 하라리가 주장한 '데이터이즘(Datais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유발 하라리가 주장한 '데이터이즘(Datais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서울대 유기윤 교수팀이 전망한 '초양극화 사회'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서울대 유기윤 교수팀이 전망한 '초양극화 사회'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 사회에서 '플랫폼 스타'들이 고급 일자리의 대부분을 독점할 것이라고 예측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 사회에서 '플랫폼 스타'들이 고급 일자리의 대부분을 독점할 것이라고 예측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대다수 일반 시민들이 '플랫폼에 종속돼 인공지능 로봇과 힘겨운 일자리 경쟁을 벌이는 단순 노동자 신세로 전락할 것'이라는 전망의 배경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대다수 일반 시민들이 '플랫폼에 종속돼 인공지능 로봇과 힘겨운 일자리 경쟁을 벌이는 단순 노동자 신세로 전락할 것'이라는 전망의 배경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언급된 '프레카리아트(Precariat)'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언급된 '프레카리아트(Precariat)'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AI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사회에서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가상현실' 공간에 머무르면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더욱 가난해진다는 예측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AI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사회에서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가상현실' 공간에 머무르면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더욱 가난해진다는 예측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인공지능(AI) 로봇이 인간보다 값싸면서도 효율적인 노동력으로 더 많은 일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과 관련하여, 미래 사회에서 새롭게 등장할 계층으로 언급된 것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인공지능(AI) 로봇이 인간보다 값싸면서도 효율적인 노동력으로 더 많은 일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과 관련하여, 미래 사회에서 새롭게 등장할 계층으로 언급된 것은 무엇입니까?
2050년을 기점으로 프레카리아트에 속한 시민들의 거센 저항이 예상된다는 주장의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2050년을 기점으로 프레카리아트에 속한 시민들의 거센 저항이 예상된다는 주장의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음 중 '인간 향상(Human enhance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Human enhance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이 초래할 수 있는 사회적 불평등 문제에 대한 우려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이 초래할 수 있는 사회적 불평등 문제에 대한 우려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무엇입니까?
인간 향상 기술의 발전이 개인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인간 향상 기술의 발전이 개인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의 '부정적인 부수 효과(side effect)'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의 '부정적인 부수 효과(side effect)'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태어난 아기의 예시로 제시된 특성들이 모두 긍정적인 결과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기술이 가지는 윤리적인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태어난 아기의 예시로 제시된 특성들이 모두 긍정적인 결과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기술이 가지는 윤리적인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의 주장을 가장 잘 요약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의 주장을 가장 잘 요약한 것은 무엇입니까?
샌델(Sandel) 교수가 강조한 '완벽(perfection)'에 대한 욕구가 인간 향상 기술과 관련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샌델(Sandel) 교수가 강조한 '완벽(perfection)'에 대한 욕구가 인간 향상 기술과 관련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 사회의 모습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2050 미래사회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 사회의 모습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만약 유전공학 기술이 발전하여 부모가 자녀의 지능, 외모, 성격 등을 원하는 대로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윤리적 문제는 무엇일까요?
만약 유전공학 기술이 발전하여 부모가 자녀의 지능, 외모, 성격 등을 원하는 대로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윤리적 문제는 무엇일까요?
다음에 제시된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용어는 무엇일까요?
'미래 사회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소유한 소수의 기업만이 막대한 부를 누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며 가난하게 살아간다.'
다음에 제시된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용어는 무엇일까요?
'미래 사회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소유한 소수의 기업만이 막대한 부를 누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며 가난하게 살아간다.'
다음은 미래 사회의 한 단면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러한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엇일까요?
'대부분의 일자리가 인공지능 로봇으로 대체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실직하고, 기본 소득으로 생활하지만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해 무력감에 빠져 살아간다.'
다음은 미래 사회의 한 단면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러한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엇일까요?
'대부분의 일자리가 인공지능 로봇으로 대체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실직하고, 기본 소득으로 생활하지만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해 무력감에 빠져 살아간다.'
영화 '가타카(Gattaca)'는 유전자 정보에 따라 사회적 계층이 결정되는 미래 사회를 그리고 있습니다. 이 영화가 시사하는 바와 가장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요?
영화 '가타카(Gattaca)'는 유전자 정보에 따라 사회적 계층이 결정되는 미래 사회를 그리고 있습니다. 이 영화가 시사하는 바와 가장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에 대한 논의에서 '치료(therapy)'와 '향상(enhancement)'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인간 향상 기술에 대한 논의에서 '치료(therapy)'와 '향상(enhancement)'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2050년 미래 사회에서 '플랫폼 소유주'가 막대한 부와 권력을 독점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음 중 2050년 미래 사회에서 '플랫폼 소유주'가 막대한 부와 권력을 독점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Questions and Answers
Something went wrong
Flashcards
Flashcards
인간 향상과 윤리
인간 향상과 윤리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향상에 대한 기대를 높이는 유전공학, 생명공학, 신경과학, 나노공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등의 발달은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그려지던 인간 향상이 윤리의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소극적 향상
소극적 향상
인간의 정상 범주에 미치지 못하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특질들을 정상 범주로 끌어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적극적 향상
적극적 향상
정상 범주의 능력을 그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간 향상의 좁은 의미
인간 향상의 좁은 의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인간 향상의 넓은 의미
인간 향상의 넓은 의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료 (therapy)
치료 (therapy)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향상 (enhancement)
향상 (enhancement)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향상 기술의 위험과 불확실성
향상 기술의 위험과 불확실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사회 정의 문제 야기 (인간향상)
사회 정의 문제 야기 (인간향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발적인 참여 문제 (인간향상)
자발적인 참여 문제 (인간향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체의 자율성 침해 우려 (인간향상)
주체의 자율성 침해 우려 (인간향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인간 본질 훼손 비판 (후쿠야마)
인간 본질 훼손 비판 (후쿠야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삶의 의미와 가치 훼손 (샌델)
삶의 의미와 가치 훼손 (샌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알고리즘
알고리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호모데우스 (책)
호모데우스 (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데이터이즘 (Dataism)
데이터이즘 (Dataism)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2050 미래사회보고서 (전망)
2050 미래사회보고서 (전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플랫폼 스타 (미래사회보고서)
플랫폼 스타 (미래사회보고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프레카리아트 (Precariat)
프레카리아트 (Precariat)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평범한 사람들의 도피처 메타버스 공간
평범한 사람들의 도피처 메타버스 공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AI와 미래 노동 시장의 변화
AI와 미래 노동 시장의 변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Flashcards
Something went wrong
Study Notes
Study Notes
인공지능과 인간 향상
- 인공지능과 생명공학 기술을 통해 인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룬 내용
프롤로그: 뇌와 컴퓨터의 연결
- 영화 "트랜센던스"에서는 인간의 뇌가 컴퓨터에 업로드되는 미래 사회를 묘사
인간 향상과 윤리
- 유전 공학, 생명 공학, 신경 과학, 나노 공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등의 발전으로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가 증가
인간 향상의 유형 (1)
- 소극적 향상: 인간의 정상 범주에 미치지 못하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특질을 정상 범주로 끌어올리는 것
- 적극적 향상: 정상 범주의 기능과 특질을 그 이상으로 높이는 것
인간 향상의 유형 (2)
- 좁은 의미의 향상: 생명 의료 기술을 통해 정상 범주에 있는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특질을 향상시키는 것
- 넓은 의미의 향상: 인류의 문화 발전 역사 자체를 향상의 역사로 이해하는 것
인간 향상의 경계
- 안경 착용, 라식 수술, 근시 유발 유전자 제거 등은 인간 향상의 경계에 위치
치료 vs 향상
- 치료 (Therapy): 손상된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능력을 정상 범주로 회복시키는 의료적 개입
- 향상 (Enhancement): 인위적인 개입을 통해 정상적인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능력을 한층 더 높이거나 새로운 능력과 기능을 갖게 하는 것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1)
- 향상 기술의 위험과 불확실성: 유전자 또는 신경계 수준의 개입을 통한 향상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2)
- 사회 정의 문제 야기: 고비용의 생물학적 향상은 일부 계층만 접근 가능하여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음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3)
- 자발적인 참여 문제 제기: 사회적 압력으로 인해 향상을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구성원들이 향상을 강요받게 될 수 있음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4)
- "주체의 자율성" 침해에 대한 우려: 유전자 검사, 선택, 변이 등을 통해 자녀의 유전형을 결정하는 부모의 행위는 자녀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음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5)
- 인간 본질 훼손 비판: 유전 공학, 신경 과학 등의 발전이 인간 향상을 위한 연구로 이어지면서 인간 고유의 본성을 파괴하고 '유전자 귀족 계급(GenRich)'을 출현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 (6)
- 삶의 의미와 가치 훼손: 생물학적 향상은 스스로의 노력에 따라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행동과 존재 방식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위협할 수 있으며, 완벽에 대한 욕구와 세계를 정복하려는 충동에서 비롯
호모 데우스 (1)
- 알고리즘은 "어떤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원하는 출력을 유도하여 내는 규칙의 집합"
호모 데우스 (2)
- 유발 하라리에 따르면 인간 또한 일종의 알고리즘이며, 데이터이즘(Dataism)이 기존의 종교와 이념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됨
미래 사회 보고서 (1)
- 2090년에는 인공지능(AI) 권력이 계급을 나누는 '초양극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
- 플랫폼 스타들이 고급 일자리의 대부분을 독점할 것이다
미래 사회 보고서 (2)
- 전 세계 인구의 극소수만이 부와 권력을 독점하고, 나머지 대다수 시민들은 인공지능 로봇과 경쟁하는 단순 노동자로 전락할 것이라는 예측
미래 사회 보고서 (3)
- 70년 후 미래 도시 시민들은 4개 계급으로 분화된 삶을 살게 되며, 최상층부에 '플랫폼 소유주'가 인류를 지배
- 나머지 99.997%의 일반 시민들은 '프레카리아트(Precariat)'로 전락해 로봇보다 못한 취급을 받게 될 것이라는 예측
미래 사회 보고서 (4)
- 전체 인구의 0.001%에 불과하지만 대부분 인류가 종속된 '플랫폼'을 통해 사실상 부와 권력을 독점할 것으로 예상
- '플랫폼 스타'라는 새로운 계급이 생겨나며, 대중적 호소력을 지닌 정치 엘리트, 예체능 스타, 로봇 설계자 같은 창의적 전문가들이 플랫폼에서 최대의 성과를 내는 소수의 엘리트 집단
미래 사회 보고서 (5)
- 인공지능의 발달로 노동의 가치가 낮아져 대부분의 시민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며, 2050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인 성장이 예측된다는 전망
- 프레카리아트에 속한 시민들의 거센 저항이 예상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Study Notes
Something went wrong